본문으로 바로가기메인메뉴 바로가기
s_visual.png

과학중점학교 소개

과학중점과정 설립목적

  • 과학문화기술 창달 및 창의적 인재 육성 체제 구축
  • 과학기술문화 창달과 수학과학교육의 연계 추진을 통한 창의사회 기반 조성

과학중점과정 설립목적

과학중점학교는 최소 4개 이상의 과학교실과 2개 이상의 수학교실을 구비하고 동 교실들을 활용하여 과학과 수학에 대한 심화교육을 실시하는 과학중점과정을 개설하여 운영하는 일반계 고등학교이다.

과학중점학교 교육과정

  • 과학중점학교에 입학한 학생들은 2022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과학, 수학 과목의 기준 단위 수보다 시수를 확대하므로 해당 과목에 대하여 심화 학습을 하게 되고, 과학 수학 인문사회 등이 융합된 과학교양 과목 1과목 이수, 모든 수학 과목의  +1 수준별 수업, 창의적 체험활동과 연계한 연간 30~40시간 이상의 과학 체험학습 등을 통해 과학적 소양을 함양하게 된다.
  • 과학중점과정을 선택하는 학생들은 수학4과목(수학Ⅰ, 수학Ⅱ, 수학의 활용, 미적분과 통계기본, 적분과 통계, 기하와 벡터 중 선택), 과학 교과 일반선택(물리Ⅰ, 화학Ⅰ, 생명과학Ⅰ, 지구과학Ⅰ)  4과목을 필수 이수하고, 과학Ⅱ(물리Ⅱ, 화학Ⅱ, 생명과학Ⅱ, 지구과학Ⅱ) 및 과학계열 전문교과Ⅰ(물리학실험, 생명과학실험, 화학실험, 지구과학실험)중에서 3과목 이상 이수함으로써 이론교육과 더불어 실험 탐구 중심으로 교육한다.
  • 과학중점과정 학생은 과학, 수학 과목을 45% 이상 이수하게 되므로 과학중점과정 학생은 과학의 기초를 충실히 닦게 된다.

과학중점과정 선정 방침

  • 학생 선정시, 해당 학생의 입학 성적 및 반 배치 고사 등의 성적은 반영 안됨
  • 학생 상담을 통해 학생의 학업 능력, 흥미도 과제집착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
  • 학생 상담, 담임 및 수학, 과학교과 선생님의 관찰 평가 결과 반영
  • 학생 포트폴리오를 다면 평가시에 활용함
  • 과학중점과정 학급은 학생들의 수요 조사에 따라 유동적으로 개설함

과학중점과정선정 운영 계획

과학중점과정선정 운영 계획
시기점검 및 준비사항
4월과학중점과정선정위원회’ 구성
과학중점과정’ 학생 선정 시기 및 선정 방법 승인
4월과학중점과정’ 학생 선정 방법 공고
4월 ~ 12월학생 진로 상담 실시
학생 관찰 평가 지속 실시
학생 포트폴리오 제작을 위한 안내 실시(학교 특별활동, 체험활동, 교외 각종경진대회 등)
7월과학중점과정 희망 학생 선정 (1차)
9월과학중점과정 희망 학생 선정 (2차)
10월다음연도 신입생 대상 학생 선정 방법(안) 도출
과학중점과정 수요 조사
11월과학중점과정 희망 학생 선정 (최종)
12월~학생 포트폴리오 관리 및 지속적인 진로 상담

과학중점과정 선정 평가 기준

과학중점과정 선정 평가 기준
평가 준거내용
학생 잠재력 평가(20%)학생 상담(10%)학생이 과학과 수학에 흥미를 나타내는가? 학생이 이공계 진로를 희망하는가?
담임 평가(10%)과학중점과정 이수를 위한 준비가 되었는가?
교과 우수성 평가(60%)교과 담임 평가(30%)끈기 있게 과제를 해결하는가?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제안하는가? 특별교과의 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가?
과학 · 수학
교과 내신(30%)
1학년 1학기 수학, 과학 합산 성적
포트폴리오(20%)자기소개서(10%)자기소개, 지원동기, 학습계획
비교과체험활동시수
(10%)
비교과체험활동 이수시간 동아리활동, 팀프로젝트활동